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3

공급면적 전용면적 차이 도대체 84㎡는 몇 평? 청약을 준비하거나 분양 아파트를 보다 보면 꼭 나오는 말,'전용 59㎡형' '공급 84㎡형' 같은 숫자들!대체 이건 몇 평짜리 아파트고, 실제로는 얼마나 넓은지 헷갈리셨죠?지금부터 공급 면적, 전용 면적, 평수 계산법까지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 평수 계산, 진짜 간단해요!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몇 평이야?” 하고 물어보는 경우가 많죠.그래서 아래처럼 기억하시면 됩니다!✅ 1평 = 약 3.3㎡ (제곱미터)✅ 계산법: ㎡ ÷ 3.3 = 평수✅ 자주 나오는 면적, 평수로 바꾸면?아래 평수 환산표에서 내가 원하는 숫자를 넣으면 평수 또는 ㎡로 바뀝니다. 평수 환산표 면적(㎡)계산법몇 평? (대략)59㎡59 ÷ 3.3약 18평72㎡72 ÷ 3.3약 22평84㎡84 ÷ 3.3약 25.5평101㎡101 ÷ 3.. 2025. 7. 24.
이재명 정부 부동산 정책 초간단 요약 요즘 뉴스 보면 “부동산 대출 어렵다”는 말이 자주 들리죠?이건 이재명 정부가 새롭게 발표한 부동산 정책 때문이에요.“도대체 뭐가 바뀐 거야?”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아주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1. 수도권은 대출 6억 원까지! (그 이상은 못 빌려요)2025년 6월부터, 서울·수도권에서 집 살 때 대출을 많이 못 받게 됐어요.집값이 아무리 비싸도 대출은 최대 6억 원까지만 가능!특히 집이 여러 채 있으면 아예 대출 자체가 안 돼요.집 사서 6개월 안에 꼭 들어가서 살아야 해요.👉 쉽게 말하면:투기나 갭투자 막고, 실수요자 중심으로 하겠다는 거예요.✅ 2. 앞으로는 집값 잡고, 집도 더 많이 지을 거래요당장은 대출 줄이면서 집값을 안정시키고,앞으로는 도심에 아파트를 새로 짓거나 공공주택도 많이 만든대.. 2025. 7. 20.
토지대장 무료 열람 조회 및 발급 방법 등기부등본만 보고 땅을 사면 큰일 납니다. 토지대장은 지목, 면적, 공시지가 등 땅의 법적 상태를 알려주는 핵심 서류로, 개발 제한이나 매매 무효를 피하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토지대장이란? 꼭 알아야 할 이유 토지대장은 ‘땅의 주민등록증’ 같은 존재입니다. 정부가 관리하는 공식 지적공부로, 아래와 같은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지번, 지목(대, 전, 답 등), 면적, 소유자, 주소, 공시지가토지의 이동 이력 및 변경 사유측량 축척, 토지구분, 사용 용도 등이 문서를 보면 해당 땅이 농지인지, 주택지인지, 최근에 어떤 변동이 있었는지, 소유자가 누구인지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개발 예정지나 상속, 증여, 매매 등을 앞둔 분들이라면 토지대장 열람은 필수입니다.정부24 바로가기👆 .. 2025. 6. 9.
주택임대차 계약 신고 안 하면 과태료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하거나 갱신했는데 ‘신고’를 안 하셨다고요? 주택임대차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신고를 하지 않으면 최대 100만 원까지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아래 버튼을 통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바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 하기👆 신고대상 – 누가 신고해야 할까요?주택임대차계약신고제란?2021년 6월부터 시행된 제도로, 보증금 6천만 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 원 초과인 임대차 계약은 계약 후 30일 이내에 의무적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대상 주택:아파트, 연립, 다세대, 단독주택, 오피스텔 등주택임대차보호법 적용 주택대상 지역:전국 모든 지역(초기에는 일부 지역만 해당되었으나 지금은 전국 확대됨)단, 도 지역의 군에 해당된다면 안 해도 됩니다. 계약조건 – 이런 경우는.. 2025. 5. 29.
반응형